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경제36

OEM과 EMS 뜻, 어떻게 다를까? 제조회사 우리가 사용하는 수많은 전자제품과 가전제품, 심지어 자동차에 이르기까지 대부분의 제품은 단순히 하나의 브랜드에서 개발하고 생산하는 것이 아니다. 실제로는 OEM(주문자 상표 부착 생산) 또는 EMS(전자 제조 서비스) 기업들이 핵심적인 역할을 맡고 있다. 이 글에서는 OEM과 EMS가 무엇인지, 그리고 둘의 차이점은 무엇인지 쉽게 풀어보려 한다.✅ OEM이란?OEM은 "Original Equipment Manufacturer"의 약자로, 직역하면 "원래의 장비 제조사"라는 뜻이다. 하지만 실제 의미는 조금 다르다. OEM은 다른 회사의 브랜드나 명칭으로 제품을 생산하는 회사를 말한다. 즉, 제품의 디자인이나 설계는 브랜드 회사가 담당하고, OEM 업체는 그 사양에 맞춰 제조만 담당하는 구조다.예를 들어,.. 2025. 5. 16.
공매도란 무엇인가? – 주식 투자에서 꼭 알아야 할 개념 주식 시장을 조금만 들여다보면 자주 등장하는 단어가 있습니다. 바로 **‘공매도(空賣渡, Short Selling)’**입니다. 뉴스에서도 "공매도 재개", "공매도 금지 연장" 같은 헤드라인이 심심치 않게 보이죠. 그렇다면 공매도란 도대체 무엇이며, 왜 이렇게 논란이 많은 걸까요?공매도의 기본 개념공매도는 말 그대로 **‘없는 주식을 판다’**는 뜻입니다. 일반적으로 우리는 주식을 사고(매수) 나중에 가격이 오르면 팔아(매도) 차익을 얻습니다. 하지만 공매도는 그 반대입니다. 주가가 하락할 것이라고 예상하고, 먼저 주식을 빌려서 판 뒤, 실제로 주가가 떨어졌을 때 다시 사들여 되갚는 방식입니다.예를 들어, A라는 회사의 주식이 현재 10,000원이라고 가정해 봅시다. 어떤 투자자가 이 주식의 주가가 곧.. 2025. 5. 12.
세계를 움직이는 투자은행들: 모건 스탠리, 제이피 모건, 골드만 삭스 현대 금융 시장을 움직이는 핵심 주체들 중 하나는 바로 투자은행입니다. 그중에서도 모건 스탠리(Morgan Stanley), 제이피 모건 체이스(J.P. Morgan Chase), **골드만 삭스(Goldman Sachs)**는 미국을 대표하는 금융 그룹이자, 세계 경제에 엄청난 영향력을 미치는 플레이어들입니다. 이 글에서는 이 세 곳의 특징과 역사, 주요 역할을 소개하겠습니다.📌 1. 모건 스탠리 (Morgan Stanley)모건 스탠리는 1935년, 글래스-스티걸 법에 따라 투자은행 부문과 상업은행 부문이 분리되면서 탄생한 회사입니다. 본사는 뉴욕에 있으며, 현재는 자산운용, 투자은행, 글로벌 금융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하고 있습니다.모건 스탠리는 기업 인수합병(M&A) 자문, IPO(기업.. 2025. 5. 11.
미국 달러를 한국 원화로 환산하면 얼마일까? 쉽게 환산 하는 법 국제 뉴스나 주식, 부동산 투자 소식에서 "텐 밀리언", "원 빌리언" 같은 표현을 자주 접하지만, 실제로 이 금액이 한국 돈으로 얼마인지 직관적으로 감이 잘 안 올 때가 많습니다. 이 글에서는 미국 달러로 표현되는 대표적인 금액을 한국 원화 기준으로 환산하여 정리해보겠습니다.2025년 5월 현재, 기준 환율은 1달러 = 약 1,300원으로 가정합니다. (※ 환율은 매일 변동되므로 참고용입니다.)📊 미국 달러 → 한국 원화 환산 표미국 달러 (USD) 읽는 법 한화 환산 (KRW) 참고10 USD텐 달러약 13,000원 만원치킨 한 마리 값 🍗100 USD원 헌드레드 달러약 130,000원 십만원하루 여행비, 데이트 비용 💑1,000 USD원 사우전드 달러약 1,300,000원 백만원노트북 또는 최.. 2025. 5. 11.
재무제표의 3대장: 손익계산서, 대차대조표, 현금흐름표의 차이점 회사의 건강 상태를 진단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도구는 재무제표입니다. 재무제표에는 여러 종류가 있지만, 그 중에서도 꼭 알아야 할 3가지가 있습니다. 바로 손익계산서(Income Statement), 대차대조표(Balance Sheet), 현금흐름표(Cash Flow Statement)입니다. 이 세 가지는 각각 다른 목적과 정보를 담고 있으며, 함께 볼 때 비로소 기업의 재무상태와 성과를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 세 재무제표가 각각 무엇을 의미하고,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기 쉽게 설명드리겠습니다.1. 손익계산서 (Income Statement) – 얼마 벌고, 얼마 썼나?손익계산서는 일정 기간 동안 회사가 얼마나 벌었고, 얼마나 썼으며, 얼마를 남겼는지를 보여주는 보고서입니.. 2025. 5. 11.
강세장과 약세장(Bull Market 불마켓 vs Bear Market 베어 마켓)의 차이와 의미 주식 투자나 금융 뉴스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한 번쯤은 “강세장(Bull Market)”이나 “약세장(Bear Market)”이라는 말을 들어보았을 것이다. 이 두 용어는 단순한 시장 상황을 넘어, 투자 심리와 경제 흐름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글에서는 강세장과 약세장이 각각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투자자들이 어떤 점을 주의해야 하는지 살펴보려고 한다.강세장(Bull Market)이란?강세장은 시장 전체적으로 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시기를 말한다. ‘Bull(황소)’이라는 동물은 공격할 때 뿔을 아래에서 위로 치켜올리며 들이받는다. 이처럼 주가가 상승하는 모습과 비슷하다고 해서 강세장을 “Bull Market”이라고 부른다.강세장은 경제 지표가 긍정적이거나, 기업 실적이 좋을.. 2025. 5. 4.
반응형